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프로그래머스
- 위상정렬
- 16933
- 백트래킹
- 소트 게임
- 백준 17071
- DP
- 백준
- BFS
- DFS
- 순열
- 조합론
- c언어
- 투포인터
- C++
- 다익스트라
- C++ 1937
- LIS
- C++1167
- 인덱스 트리
-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
- C++ 1918
- 백준 숨바꼭질5
- C++1967
- 문자열
- 조합
- Backtracking
- strtok
- C++ 17071
- 알고리즘
- Today
- Total
목록CS (8)
블로그

C언어는 0이 아닌 모든 값을 true라고 한다 그럼 음수값이나 소수는? 음수나 소수여도 다 true이다. 0은 float형으로 선언되어있어도 false이다 C++에서도 마찬가지
이젠 머릿속에 넣읍시다 에잇 char[] to string 생성자 사용 char str_char[10] = "lemonade"; string str(str_char); 또는 string str=""; str=str_char; 해주면 대입연산자가 알아서 str_char의 주소값부터 시작해 '\0'까지 읽어들여 string으로 만들어 주는 형식인가보다 string to char[] string str="lemonade"; char str_char[10] ; strcpy(str_char, str.c_str()); string에 .c_str()만 해주고 나서 바로 할당해줄 수 없나? 하겠지만 그러면 const char* 로 받아야 한다 (수정 불가능) (으악) const char* str_char = str.c..

개빡친다 모르는게 너무 많아 https://mintnlatte.tistory.com/247 컴파일(Compile)과정 - as에 의한 기계어 코드 생성 ■ 컴파일이 끝난 어셈블리 코드는 as에 의해 기계어(바이너리)로 어셈블 된다. (1) 오브젝트 파일 구조 : 오브젝트 파일이나 실행파일은 그 자체로서 링커나 로더에게 정보를 제공해야만 링킹 mintnlatte.tistory.com https://donghwada.tistory.com/entry/%EB%A9%94%EB%AA%A8%EB%A6%AC-%EC%98%81%EC%97%AD-Code-Data-BSS-HEAP-Stack-Little-Endian-Stack%EC%9D%98-%EC%9D%B4%ED%95%B4 메모리 영역 (Code, Data, BSS, HE..

: Inter Process Communication / 프로세스끼리 통신을 하는 방법 IPC 식별자: Key, Id key 생성 API: key_t ftok(const char *pathname, int proj_id) -> pathname과 proj_id를 동일하게 주면 key는 같아짐 IPC 자원들은 커널에 의해 만들어지며 커널에 존재 생성된 IPC들은 제거하기 전까지 시스템에 남아있음 IPC의 종류: signal, pipe, message queue, shared memory, semaphore 등... 뭐가 많다~ Pipe 단방향 통신 -> 한쪽에서 데이터를 쓰면 반대쪽에선 데이터를 읽음 -> 근데 이게 동시에 양방향이 안된다는 거지 A->B로 했다가 다 닫고 다시 열어서 B->A로 하는건 가능..

PL/SQL 오라클에 내장된 Procedural Language 조건문 및 반복문이 지원됨 [DECLARE - (BEGIN) - (EXCEPTION) - END] 의 구조를 가진다 장점(사용하는 이유) 조건문 및 반복문이 지원된다 변수를 사용 가능하다 예외처리가 가능하다 특징 문장과 END뒤를 세미콜론으로 마쳐야함 쿼리문 수행시 / 입력 단일행 주석: -- 여러행 주석: /**/ 대입연산자: := -> 변수 := 값 와 같이 사용 비교연산자: = 출력 세션마다 set serveroutput on 으로 setveroutput 환경변수를 먼저 ON 해주어야 한다 출력시 dbms_output.put_line() 함수를 이용해 데이터 출력 -> 기본적으로 줄바꿈이 끝에 붙는 함수임 (PL/SQL 쓸 때에는 ed..

잘못 설계된 DB가 일으키는 이상현상 삭제이상: 튜플 삭제 시 같이 저장된 다른 정보까지 연쇄적으로 삭제되는 현상 삽입이상: 튜플 삽입 시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값이 없어 NULL 값을 입력해야 하는 현상 수정이상: 튜플 수정 시 중복된 데이터의 일부만 수정되어 데이터의 불일치 문제가 일어나는 현상 -> 이상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테이블의 정규화가 필요함 : 릴레이션(테이블) 의 속성 사이의 의존성이 있는 것 A -> B 와 같이 표기함 A는 B의 결정자(Determinant)이고, B는 A의 종속속성(dependent attribute) 이다. A는 B를 결정(Determine)하며 B는 A에 종속된다(Dependent) 예시) 학생번호(primary key) -> 학생이름, 주소, 학과 를 결정함(종속..

ex) create sequence(시퀀스 이름) start with1 increment by 2; -> 1, 3, 5, 7, 9... 등차수열 만들어주기 -> start with 0로 해봤는데 시퀀스의 min value보다 작으면 안된다고 하면서 빠꾸먹었다. 시퀀스의 디폴트 min value는 1인걸로! 테이블 alter 후 commit 해주어야 반영이 됨 (대신 테이블 create 나 drop은 commit 안해도 반영됨 확인해봄!) -> DDL 문은 자동으로 commit을 실행하기 때문! rollback은 마지막 commit 이후로 수정사항을 전부 날리는 것 -> savepoint: 깃처럼 중간중간 진행사항 저장하는 것이 가능 ex) savepoint sv_a ... ... rollback sv_a..
실행: sqlplus system/비번 - select절, from절, where절 SELECT COLUMN_NAME, DATA_TYPE, DATA_LENGTH FROM USER_TAB_COLUMNS WHERE TABLE_NAME = 'SAMPLE'; SQL의 종류 - DDL, DML, DCL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: create, drop, alter, truncate -> (*truncate: 테이블 전체를 삭제하고 똑같은 이름의 테이블 새로 생성) 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: select, insert, update, delete DCL(Data Control Language): grant, revoke 현재 user로 볼 수 있는 테이블..